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극장판 포켓몬스터: 루기아의 탄생

덤프버전 :



루기아의 탄생 (1999)
Pokemon: The Movie 2000: The Power of One
(Revelation-Lugia)[1]
劇場版ポケットモンスター 幻のポケモン ルギア爆誕
[2][3]
파일:external/592ed7f65bd68c04328ba9285ce995080d1b514e7f89c72a4d652100affefe54.jpg
감독유야마 쿠니히코
총작화감독이치이시 사유리
각본슈도 타케시
음악미야자키 신지
상영 시간81분
개봉1999년 7월 17일파일:일본 국기.svg
2000년 7월 21일파일:미국 국기.svg
2001년 8월 11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월드 박스오피스$133,949,270
흥행 성적62.0억엔
대한민국 총 관객 수20,600명[4]
국내 등급전체 관람가

1. 개요
2. 줄거리
3. 등장인물
3.1. 레귤러 등장인물
3.2. 극장판 등장인물
3.3. 주요 포켓몬
4. 평가
5. 흥행
5.1. 대한민국
6. 기타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EB%A3%A8%EA%B8%B0%EC%95%84%EC%9D%98_%ED%83%84%EC%83%9D.png

목숨을 걸고, 덤벼라!![5]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2번째 극장판 애니메이션. 작중 시간대는 무인편 107~112화[6] 사이로 추정. 다만, 시간대로는 그렇지만 오렌지제도의 섬 배치로 따져보면, 105~106화 사이라는 추측도 가능하다.[7]

미국 영화 시장 등에서 개봉할 때에는 Pokemon: The Movie 2000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뮤츠의 역습 때 소송을 너무 많이 맞아서 계속 이름이 갈렸다. 2000이 된 이유는 미국유럽에서는 2000년에 개봉했기 때문이다.



2. 줄거리[편집]


오렌지 제도를 여행하던 지우 일행이 태풍에 휘말려 아시아 섬이라는 곳에 오게 된다. 이곳에서 플루라라는 소녀를 만나고 이 섬에서 전설의 새들과 루기아에 대한 전설을 듣게 된다. 전설의 포켓몬인 루기아를 잡기 위해 포켓몬 수집광인 지킬드 박사라는 악당이 프리져, 썬더, 파이어 세 마리를 잡아가고 지우 일행은 전설의 새들을 구출하지만 서로 폭주해서 날뛰게 되고 그 때 전설의 포켓몬 루기아가 나타나는데...

3. 등장인물[편집]



3.1. 레귤러 등장인물[편집]



3.2. 극장판 등장인물[편집]




  • 플루라 - 히라마츠 아키코 / 최향윤 / 조현정[8]
파일:극장판 2기 플루라.png파일:극장판 2기 플루라 무녀복장.png
아시아 섬에 사는 전 무녀, 요델의 여동생이자 현 무녀. 하지만 마을 사람들과는 다르게 축제에 관심을 별로 두지 않아서 축제 준비하는 것을 귀찮아한다. 처음에 지우가 트레이너라는 소리를 들을 때 환영식으로 지우에게 볼 뽀뽀를 하고[9] 이슬이보고 지우의 여동생이나 여자친구 아니냐며 놀리기도 한다. 축제를 하면서 무녀로써 피리를 불며 지우에게 축제 도중 구슬을 모아오라는 과제를 주게 된다. 하지만 당일 폭풍우가 더욱 심해지면서 다음 날에 하는 것을 권유하였으나 지우는 빨리 끝내는 편이 좋다며 의식을 실행하러 가버려 지우를 걱정하게 되며 죄책감을 느끼게 된다. 결국 플루라는 지우를 도와주기 위해 관철이와 이슬이와 같이 보트로 아시아 섬 여행에 동행하게 되며[10] 루기아가 바다에 빠졌을 때 플루라가 피리로 루기아를 부활시키면서 지우는 루기아의 도움으로 얻은 얼음 구슬을 재단에 올려 놓아 플루라는 피리[11]를 불어 모든 재난을 잠재우게 된다. 처음엔 이슬이를 지우의 여자친구냐고 놀리면서 이슬이의 질투를 사기도 했지만 나중엔 이슬이와 가장 친해진다.

파일:극장판 2기 미치코.png
보트 운행자로 바다를 지우와 친구들을 보트로 태우면서 오렌지 제도 주변을 운행하다 폭풍우가 닥치면서 아시아 섬으로 오게 된다. 사실 미치코의 고향이 아시아 섬이고, 친구인 요델과 재회를 하게 된다.

파일:극장판 2기 요텔.png
아시아 섬의 전 무녀로 현 무녀인 플루라의 언니이다.

파일:극장판 2기 장로.png

  • 야도킹 - 하마다 마사토시 / 장광 / 불명[12]
파일:극장판 2기 야도킹.png
아시아섬 제단에서 살고 있는 야도킹. 무려 말을 할 수 있으며, 제4의 벽을 깨기도 한다. 희생정신을 발휘한 로켓단에게, 많은 사람들이 로켓단이 한 선행을 쭉 지켜봤다고 전달하며 시청자들을 쳐다본다.
단편 작품 '야도킹의 일상'에서 제목 그대로 야도킹이 평범하게 지내는 작품도 나왔다.

3.3. 주요 포켓몬[편집]






4.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27628|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8.66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8.66 / 10
]]
평점 없음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8.7 / 10





파일:라프텔 로고 화이트.svg
별점 4.0 / 5.0





이 극장판이 다른 영화들과 차별되는 부분은 전설의 위엄이 무엇인지 보여준다는 점이다. 물론 시간도 세대도 오래 지난만큼 지금은 냉동 닭이나 전기통구이 등 비아냥거림의 대명사가 된 세 마리의 전설의 새들이 여기서만큼은 말 그대로 전설의 위엄을 아주 제대로 뽐내는데, 이 세 마리의 힘의 균형으로 인해 지구상의 생명체들의 근원인 단백질이 생성되는 아주 중요한 존재로 그려지며, 또한 그들이 폭주해서 서로 싸우는 통에 폭풍이 몰아치고 바다가 얼어붙는 등 전 세계의 기후가 엉망이 되어 세계멸망의 위기로 몰고 간다. 또한 이들의 전투력도 막강하게 나오는데 3:1 싸움임을 감안하더라도 무려 루기아를 털어버리는 충격적인 장면을 연출한다. 루기아 역시 전설의 포켓몬 세 마리를 미끼로 불러내는 중재자 역의 존재라는 것이 작중 계속 언급되며, 이런 명성에 걸맞게 이 세 마리와 대등하게 계속 전투를 벌이고[13] 전작의 최종 보스처럼 텔레파시를 통해 작중 인물들과 대화가 가능한 모습을 통해 초월적 존재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스토리도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서 고뇌하는 뮤츠의 이야기를 다룬 전작 뮤츠의 역습처럼 자연환경의 질서와 균형을 무너트리면 안 된다는 교훈적이고 무거운 내용을 담고 있고 이야기 전개나 연출도 좋은 편이여서 평가가 나쁘지 않았다. 하지만 한국에서 소개될 때는 애니메이션 포켓몬 열풍이 약간 식은 뒤라서 큰 반향을 불러 일으키진 못했다.

게다가 악역 지킬드는 다른 극장판들의 악당들과 달리 개과천선+인과응보 & 자업자득+권선징악 결말을 맞지 않아서 이에 대한 비판이 있다.

5. 흥행[편집]


일본 애니메이션 중 10위의 글로벌 흥행과, 일본 애니메이션 중에서 1억 달러를 넘긴 마지막 작품이다. 포켓몬스터 시리즈에서는 뮤츠의 역습과, 루기아의 탄생 단 두 작품만이 1억 달러를 넘겼다. 하지만 전작인 뮤츠의 역습이 북미 흥행 8500만 달러를 넘긴 것의 절반인 4200만 달러를 북미에서 벌어들였고 이후로 포켓몬스터 시리즈 북미 흥행은 그리 좋지 않다.

글로벌 흥행 1억 달러 이상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 펼치기 · 접기 ]

순위영화감독개봉년도제작사일본 배급사최종 수익
1위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소토자키 하루오2020년ufotable도호
애니플렉스
$507,119,058
2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미야자키 하야오2001년스튜디오 지브리도호$395,580,000
3위너의 이름은.신카이 마코토2016년코믹스 웨이브 필름도호$382,238,181
4위스즈메의 문단속신카이 마코토2022년코믹스 웨이브 필름도호$323,638,107
5위더 퍼스트 슬램덩크이노우에 다케히코2022년토에이 애니메이션토에이$279,686,157
6위원피스 필름 레드타니구치 고로2022년토에이 애니메이션토에이$246,570,000
7위하울의 움직이는 성미야자키 하야오2004년스튜디오 지브리도호$235,184,110
8위벼랑 위의 포뇨미야자키 하야오2008년스튜디오 지브리도호$203,204,882
9위극장판 주술회전 0박성후2021년MAPPA도호$196,308,703
10위날씨의 아이신카이 마코토2019년코믹스 웨이브 필름도호$193,932,489
11위STAND BY ME 도라에몽야마자키 다카시
야기 류이치
2014년시로구미, 로봇, 신에이 동화도호$183,442,714
12위극장판 포켓몬스터: 뮤츠의 역습유야마 쿠니히코1998년OLM도호$172,744,662
13위모노노케 히메미야자키 하야오1997년스튜디오 지브리도호$169,785,629
14위마루 밑 아리에티요네바야시 히로마사2010년스튜디오 지브리도호$145,570,827
15위바람이 분다미야자키 하야오2013년스튜디오 지브리도호$136,333,220
16위극장판 포켓몬스터: 루기아의 탄생유야마 쿠니히코2000년OLM도호$133,949,270
17위드래곤볼 슈퍼: 브로리나가미네 타츠야2018년토에이 애니메이션
20세기 폭스
인터내셔널 프로덕션
토에이$124,500,000
18위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미야자키 하야오2023년스튜디오 지브리도호$121,075,952
19위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나가오카 치카2019년쇼가쿠칸
요미우리TV
도호$119,875,024
20위명탐정 코난: 흑철의 어영타치카와 유즈루2023년쇼가쿠칸
요미우리TV
도호$116,921,563
21위명탐정 코난: 제로의 집행인타치카와 유즈루2018년쇼가쿠칸
요미우리TV
도호$108,105,223
22위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미츠나카 스스무2022년TMS 엔터테인먼트
쇼가쿠칸
도호$102,767,033
23위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나가오카 치카2021년TMS 엔터테인먼트
쇼가쿠칸
도호$102,541,050
24위드래곤볼 슈퍼: 슈퍼 히어로코다마 테츠로2022년토에이 애니메이션토에이$100,200,000




출처 :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단위 :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1999년 7월 17일$133,949,2702001년 9월 16일
개별 국가
일본1999년 7월 17일
북미2000년 7월 21일$43,758,6842000년 8월 24일
독일2000년 12월 21일$7,276,7282001년 2월 18일
영국없음$2,980,5802001년 2월 11일
오스트리아2000년 12월 22일$838,0762001년 2월 25일
덴마크2000년 12월 8일$340,0842001년 1월 11일
이하 10만 달러 미만


5.1. 대한민국[편집]


극장판 전작 뮤츠의 역습이 2000년에 전국 40만 관객으로 흥행했었음에도 불구하고, 루기아의 탄생은 2001년에 한국에서는 서울 기준으로는 '단성사'[14] 한 곳에서만 개봉했다. 사유는 불명. 홍보도 제대로 되지 않았고 전작의 '뮤츠 프로모 카드'와 같은 판촉 행사도 없는 단관 개봉이라 관객수는 20,600명으로 매우 적게 집계되었다. 사실 각 지역별로 조촐하게 개봉을 했던 정황들이 있는데, 가령 강원도 정선군에서는 2001년 당시 문화회관에서 상영을 한 적이 있었다. 또한 경기도 의정부시 국도극장에서도 서울보다 먼저 개봉했던 적이 있다.

이후 2016년 5월 2일에 재더빙하여 VOD로 서비스하였다. 주요 성우진은 당시 한창 방영중이던 XY&Z와 똑같이 유지했으나, 이슬이의 성우는 오랫동안 맡았던 지미애에서 여민정[15]으로 교체되었다.[16][17] 이는 후속작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6. 기타[편집]










[1] 일본 한정 영어 제목.[2] 일본어로 폭탄과 발음이 유사하다. 폭발적으로 충격적인 탄생을 뜻하는 일본의 속어로 한국에서는 쓰이지 않는 조어라서 탄생으로 번역된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서는 80년대 해외 서적 번역본 등에서 쓰이던 어휘였으나 본 작품을 계기로 상당히 유명해졌다.[3] 이 시점에서는 웅이가 아니라 관철이 들어가야 되는데 바뀌어버렸다... 게다가 이슬이가 두 번이나 나온다. 참고로 원본 포스터에서는 왼쪽 상단에 지우와 피카츄가 있었고, 관철은 원본 포스터에도 나와있지 않다. 그래도 제대로 나온 포스터도 있다.[4] 단관 개봉[5] 본 극장판의 캐치 카피. 본편에서는 안 나온다. 이후 이 대사는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파랑 구조대에서 루기아의 대사로 나온다.[6] 리자몽이 지우의 말을 잘 따르고(107화) 최이슬이 발챙이를 포획하기 전(112화)이다. [7] 극장판 내부에 있는 오렌지제도의 지도는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으며, 실제로 포켓몬 월드에서의 오렌지제도의 지도는 미국 포켓몬 컴패니에서 공개한 지도를 따른다. 이는 극장판 10기 시점에서 설정 재정립을 통한 지도 재배치에서 오렌지제도가 미국에서 공개한 지도대로 나온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8] 파괴의 포켓몬과 디안시에서 디안시를 맡았다.[9] 이때 이슬의 얼굴이 빨개지면서 찡그리는 표정을 짓는다. 파일:극대노한이슬이.jpg[10] 운전도 플루라가 한다.[11] '루기아의 노래.'[12] 이 극장판에 참여한 신용우방성준 성우로 추정. 하지만 두 명 다 이미 2개의 배역을 맡고 있어서 야도킹까지 하면 1인 3역을 하는 셈.[13] 앞서 말했듯이 3대 1의 상황까지는 견디지 못하고 심하게 얻어터지는 추태를 한 차례 부리긴 했다. 그러나 이후 다시 힘을 회복하고 나서는 다시금 3마리의 공격에 모두 대항했고, 세상이 멸망해가는 와중에도 정신을 못 차린 지킬드 박사가 전기창살을 날려 루기아를 잡으려고 하자 빡친 루기아가 에어로블라스트로 비행선을 완전히 날려버린 후 두 번째 에어로블라스트로 파이어와 썬더를 무력화시키는 등 위엄을 되찾는다. 지금은 에어로블라스트의 이펙트가 루기아의 숨결같은 느낌이지만 당시의 이펙트는 파괴광선과 비슷한 광선류로서, 발사하기 전에 여러 다발로 뿜어져 나오다가 한 곳에 집중되는 광선이었다.[14] 1907년 종로3가에 설립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영화관. 참고로 루기아의 탄생이 8월 개봉인데, 단성사는 그 다음달인 9월에 건물을 한 번 철거했었다. 사실상 마지막 개봉작을 장식하게 되었다. 이후 재건축을 통해 멀티플렉스로 탈바꿈했으나 실패하고, 2016년에 '단성골드주얼리센터'로 변경. 이후 2019년에 '단성사영화역사관'이 들어섰다.[15] 본편인 XY&Z에서 카르네 역을 맡았으며, 극장판 18기에서는 굴레에 빠진 후파도 맡았다.[16] 이전에도 베스트위시에서는 김현지가, 외전인 전율의 미라주 포켓몬에서는 이지현이 맡은 바 있다.[17] 그밖에도 메인 멤버인 관철(TVA에서는 오인성이 담당)은 오박사를 맡은 신용우가 동시에 맡았다.[18] TVA 220화. 성도편에서 지우가 어린 루기아를 봤을 때, 전에 오렌지 제도라는 곳에서 본 적 있어. 라고 발언했다. 하지만 그 전 189화에 찰칵이가 프리져를 찾으러 다닌다고 말할 때 지우 일행은 프리져라는 존재를 처음 알게 되었고 프리져와 만날 때 프리져를 처음 보는 반응이 나와 약간의 설정오류가 생겨버렸다.[19] 개그성이 강하긴 하지만 엄연히 로켓단이 세계의 평화를 위해 스스로를 희생한 장면이다. 맨날 폭발에 날라가고 여러가지로 혹사당하는 로켓단이지만 이때 만큼은 아프는 걸로 안 끝나고 죽을 거라며 살짝 진지하게 죽음을 걱정한다. 그만큼 그들 나름으로선 죽음을 각오한 희생이었던 것. 다른 캐릭터였다면 그 높이에서 떨어지면 당연히 죽음 확정이다. 다행히 얼음 바다의 녹은 부분에 떨어져 피칠갑죽음은 면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02:29:27에 나무위키 극장판 포켓몬스터: 루기아의 탄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